<p></p><br /><br />어제 트럼프 대통령이 갑작스럽게 추가 대북제재 철회를 지시하면서 미국 내부는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. <br> <br>본인에게 좋지 않는 뉴스를 덮기 위한 고도의 전술이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김정안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대규모 추가 제재가 언제든 가능함을 시사했지만,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해 6월)] <br>"대북 (추가) 제재 대상인 대규모, 300여 곳 명단을 갖고 있습니다." <br> <br>하노이 협상 결렬 후엔 부정적 입장을 밝혔던 트럼프 대통령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 2월) <br>"추가 제재에 대해 말하고 싶지 않습니다." <br> <br>이번엔 이르면 다음주 발표 예정이던 대규모 추가 제재를 자신의 SNS를 통해 저지하면서 혼선을 초래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<br>자칫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란 분석도 있지만, 사전 조율 없는 트럼프 대통령의 단독 플레이가 행정부 차원의 대북 협상력을 약화시킨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다만 일관성 없는 듯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제재 메시지는 의도된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새해 첫 국무회의에서 ‘제재가 온다’는 문구 포스터를 앞에 두고 김정은 위원장을 치켜세웠듯, 협상과 제재가 모두 유효하다는 대북 압박성 메시지란 겁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 스캔들을 수사한 뮬러 보고서가 제출된 당일 제재 철회를 지시를 한 것은 언론의 관심을 돌리기 위한 ‘물타기’였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뉴스 김정안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