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내일은 46명의 장병이 희생자를 낸 천안함 폭침 9주기입니다. <br> <br>목숨을 건진 58명의 장병들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상황인데요, <br> <br>유공자로 인정되는 건 고사하고, 치료비조차 지원받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 실태를 이은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천안함 폭침 당시 24살 말년 병장이던 전준영 씨, <br> <br>9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여전히 그날의 악몽에 시달립니다. <br> <br>[전준영 / 천안함 생존장병] <br>"(꿈에서) 배 침몰하고 전사한 전우들이 (나를) 쳐다만 보고 있고. 부모님께도 얘기했어요, 그때 같이 죽어버릴걸." <br><br>외상후스트레스장애로 9년째 정신과 치료를 받지만, 치료비는 모두 스스로 부담했습니다. <br><br>국가유공자 신청이 반려됐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하사였던 김정원 씨도 정신적 충격이 상당했지만 치료비 지원을 받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[김정원 / 천안함 생존장병] <br>"대인기피증 심했고요. 제가 웃으면 (나만) 살아남아서 좋아한다. 그렇게 들리는 것 같아서요." <br> <br>치료비는 국가유공자로 인정돼야 지원받을 수 있지만, 천안함 생존장병들의 국가유공자 인정비율은 30%에도 못 미칩니다. <br><br>정신적 피해를 본 장병들이 많지만, 입증하기 어려운 데다 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신보라 / 자유한국당 의원] <br>"지지부진하게 심사를 끌지 않도록 단축하는 등의 세심한 지원이 필요합니다." <br> <br>생존 장병들의 치료비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 <br> <br>elephant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오성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