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사회부 최주현 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<br><br>김학의 전 차관에 대한 세 번째 수사가 임박했습니다. 도대체 6년 전 청와대에선 무슨 일이 있었던 겁니까? <br><br>딱 6년 전이죠. <br> <br>그러니까 2013년 3월 13일, 청와대는 김학의 법무부 차관 내정을 발표합니다. <br> <br>그리고 이틀 뒤인 3월 15일, 김 전 차관이 공식 임명됩니다. <br> <br>그런데 사실 '김학의 동영상'이 있다는 소문은 이보다 3개월 앞선 2012년 12월부터 돌았습니다. <br> <br>소문에도 불구하고 차관직에 오르지만, 취임 6일 만인 3월 21일, 김 전 차관은 의혹에 대한 해명없이 자진사퇴하게 됩니다. <br> <br>[질문1]법무부가 김 전 차관 사건을 재수사 요청하며 이 6년 전, 3월을 주목한 이유는 무엇입니까. <br><br>불과 열흘도 안 되는 이 기간에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수사가 필요하다는 겁니다. <br> <br>'동영상 첩보를 언제 보고했냐'를 두고 당시 청와대 민정라인과 외압을 받았다는 경찰의 기억은 완전히 엇갈립니다. <br> <br>당시 경찰 지휘부는 2013년 3월 첩보를 입수해 내사에 착수했고, 이후 이 사실을 청와대에 구두·서면 등 여러 차례 보고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심지어 김 전 차관 내정을 발표한 날 오후 5시에도 청와대를 방문해 보고했다는 주장입니다. <br> <br>당시 청와대 민정라인의 기억은 조금 다릅니다. <br> <br>조응천 비서관은 경찰이 '내사가 없다'고 전달했다는 주장을, 이중희 당시 민정비서관은 김 전 차관 내정 발표날 경찰이 "방금 첩보를 입수했다"며 <br> <br>그제서야 내사 내용을 보고했다는 입장입니다. <br><br>[질문2]경찰 측에서는 당시 청와대가 부당한 인사조치까지하며 사건을 왜곡시켰다는 주장을 하고 있잖아요. <br><br>김 전 차관이 자진사퇴하고 보름도 채 안 된 상황에 이뤄진 경찰 인사 때문입니다. <br> <br>4월 5일부터 시작해 당시 김 전 차관 사건 수사를 지휘하던 경찰 수사책임자 1,2인자가 10일 간격으로 교체됐습니다. <br> <br>당시 경찰청 김학배 수사국장과 이세민 수사기획관이 각각 울산지방청장으로 전보, 경찰대학교 학생지도부장으로 좌천된 겁니다. <br> <br>결과적으로 수사팀이 완전히 전국 각지로 흩어지게 된 건데, 아주 이례적인 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3]그렇다면 동영상 의혹에 휩싸였던 김학의 전 차관을 무리하게 임명 강행했다는 지적도 나왔는데, 인사 배경은 무엇이었나요? <br><br>조응천 당시 공직기강비서관은 김 전 차관과 관련된 소문을 보고서로 만들어 올리자, <br> <br>"김 전 차관 본인이 아니라는데 없는 사실을 들고 그러느냐”는 말을 청와대 윗선에게 들었다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조 전 비서관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과, 육군 대령이었던 김 전 차관의 아버지가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아버지 때부터 이어져 온 두 사람의 인연이 잘못된 인사와 수사 외압을 낳은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4] 오늘 과거사진상조사단이 편지 한 통을 공개했는데, 새로운 수사 단서가 될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고요? <br><br>가명으로 보낸 편지였는데요, <br> <br>춘천지검에 근무하던 검사라고 자신을 소개했습니다. <br> <br>김 전 차관을 험지에 빠지게 한 사람이 있다며, 매일 술을 먹었고 윤중천 씨를 김 전 차관에게 소개했다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진상조사위원장이었던 김갑배 변호사와 사법시험 동기여서 그런지 의심스럽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수사가 전직 검찰 고위 간부들로 확대될 수 있다는 얘깁니다. <br> <br>여기까지 듣겠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