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조양호 회장의 연임 실패는 11% 지분을 가진 국민연금이 주도했습니다. <br> <br>우리의 노후자금인 국민연금은 주식시장의 가장 큰 손으로, 90개 기업에서 10% 이상 지분을 가진 대주주입니다. <br><br>사회적 지탄을 받았던 기업들은 긴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은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국민연금이 10% 이상 지분을 소유한 국내기업은 모두 90곳. <br><br>삼성전자를 비롯해 신세계, 현대모비스 등입니다. <br><br>5% 이상 지분이 있는 기업까지 포함하면 290개가 넘습니다. <br> <br>640조 원을 국내기업 등에 투자하면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그동안 의결권 행사 등 기업 경영 참여에는 소극적이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대한항공을 신호탄으로 지난해 논란 속에 도입된 '스튜어드십 코드'의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가 본격 가동된 셈입니다. <br> <br>[이동욱 / 전 복지부 인구정책실장 (지난해 7월)] <br>"스튜어드십 코드는 명확한 지침에 따라 행사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여 투명하고 독립적으로…" <br> <br>특히 국민연금의 앞으로의 움직임은 국내외 기관투자자는 물론 소액주주들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란 분석입니다. <br> <br>대규모 자금을 운용하는 만큼 국민연금의 판단에 따라 기업주가도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[안상희 / 대신지배구조연구소 본부장] <br>"국민연금 수준이면 안건 분석력이나 정보력이 일반 투자자들보다 훨씬 앞서기 때문에 (소액주주들이) 참고할 거고요." <br><br>일각에선 국민연금의 독립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정부의 입김에 따라 민간기업을 좌지우지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 <br>elephant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범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