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아이를 낳지 않는 초저출산 현상 어제 오늘 일은 아닙니다.<br><br>그런데 당장 올해부터 새로 태어나는 출생아 숫자보다 사망자가 많아지는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된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.<br><br>김남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보건복지부의 장사예약시스템에 있는 서울 근교의 화장장입니다. <br> <br> 하루 평균 100구를 화장할 수 있지만, 예약이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[A 씨 / 화장터 관계자] <br>"(화장) 못하셔서 4일장을 하시거나 다른 화장장 찾아서 내려가시는 경우도 있죠.” <br> <br> 고인을 떠나보내는 시설은 붐비지만 출생자수가 급감하면서 아예 분만실을 없앤 산부인과도 있습니다. <br><br> 실제 올해부터 사망자수가 출생자수를 넘어서는 이른바 인구의 자연감소가 현실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. <br><br> 자연감소 시점을 2029년으로 지목했던 3년 전 전망보다 10년이나 빨라진 겁니다. <br><br> 이민과 같은 국제 인구 유입까지 고려한, 우리나라 총인구는 빠르면 내년부터 감소합니다. <br><br>[김진 / 통계청 인구동향과장] <br>"출생이 굉장히 많이 감소한 상황이기 때문에 인구 정점보다는 자연감소의 시점이 더 많이 당겨진 것이라고 그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” <br><br>특히 생산연령인구는 50년 간 2천만 명 감소하는 반면, 고령인구는 1천 만 명 늘어나 양측 인구는 2065년 역전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.<br><br>정부는 범부처 '인구정책 TF'를 만들어 종합적 대응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남준입니다. <br> <br>kimgija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장세례 <br>그래픽 : 김승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