백악관도 다음 달 11일 한미정상회담 개최를 확인하면서 굳건한 한미동맹 관계를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상회담 조율을 위해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이 다음 주 미국을 방문하고 이에 앞서 내일은 한미외교장관 회담도 열립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 내외가 4월 11일 문재인 대통령 내외를 환영할 것이라며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공식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두 정상은 최근 북한 관련 진행 상황과 양자 현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"한미동맹은 한반도와 지역 평화·안전의 린치핀, 핵심축"이라며 이번 방문이 동맹과 우정을 강화하게 될 것"이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바마 정부 시절 주로 사용하던 '린치 핀'이란 용어를 꺼내 든 것은 최근 대북정책을 둘러싼 한미 공조 균열 우려를 불식하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이 다음 주 워싱턴을 방문합니다. <br /> <br />미국 측과 정상회담 의제를 세부 조율하는 한편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비핵화 협상 교착 국면의 돌파 방안을 집중 협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이에 앞서 내일은 한미 외교장관회담이 열립니다. <br /> <br />강경화 외교장관과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이번 첫 회동에서 대북 대응과 북미협상 재개 전략을 본격 논의합니다. <br /> <br />이도훈 본부장과 비건 대북특별대표는 각기 러시아와 중국을 방문한 결과도 공유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한미 양국은 정상회담을 앞두고 외교안보라인의 연쇄 회동을 통해 긴밀한 대북공조를 재확인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북중러 연대를 다지려는 북한에 대응해 중국과 러시아를 잇따라 접촉한 한미 양국이 북한을 대화로 끌어들일 어떤 방안을 찾아낼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32921535056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