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미세먼지와 함께 몸속에서 독성이 생기는 미세플라스틱이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인류 건강과 지구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는 플라스틱 문제 해법을 찾기 위해 과학자들이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논의하는 장이 마련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땅속은 물론 바닷속 등 지구 곳곳에 파고든 플라스틱. <br /> <br />지구 생태계를 어지럽히는 플라스틱은 보이는 것뿐만 문제가 아닙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는 눈에 띄지 않는 초미세플라스틱 문제가 심각한 환경문제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초미세플라스틱이 체내에 흡수되면 독성이 생긴다는 사실이 최근 확인되면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진영 /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질환연구센터 : 현재 나노플라스틱이나 미세 플라스틱이 환경이나 인체에 얼마나 있는지도 모르기 때문에 그런 것을 검출하고 진단하는 것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사람은 물론 동물과 식물까지 지구 생태계를 교란하는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과학적 '집단 지성'을 통해 인류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해결방법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입니다. <br /> <br />미세플라스틱보다 앞서 진행된 기존 플라스틱 분해에 관한 연구들도 성과가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꿀벌부채명나방이 플라스틱을 장내에서 소화 시켜 분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은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큰 성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[류충민 /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분자식물세균학실 센터장 : 이 기술을 이용한다면 미세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분해해서 전혀 무해 한 물질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환경 공해를 일으키고 인류 생태계를 교란하는 플라스틱. <br /> <br />과학의 산물인 플라스틱 문제도 역시 과학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는 게 연구자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정우[leejwoo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40304021522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