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문제는 이런 아동학대가 또 발생할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정부가 공공부문 일자리를 창출한다며 아이 돌보미를 늘리고 있는데, 보육의 질보다는 머릿수 채우기에 급급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아이돌보미로 7년째 일하는 배모 씨에게 서울 금천구 영아 학대 사건은 예견된 일이었습니다. <br> <br>돌보미의 자질을 보기보다는 숫자를 늘리는데 급급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배모 씨 / 아이돌보미] <br>"여가부에서 이 센터 인원을 (연말까지) 200명까지 충원해라 이렇게 내려와요. 충원될 때까지 계속 뽑아댄다는 거죠." <br> <br>2만3천 명인 전국의 아이돌보미를 연내 3만 명까지 늘리겠다는 정부 목표를 맞추기 위해 무분별한 채용이 이뤄진다는 겁니다. <br> <br>아이돌보미가 되려면 80시간 교육을 받아야 하는데, 아동학대 예방수업은 2시간에 불과합니다. <br> <br>[배모 씨 / 아이돌보미] <br>"1년에 2시간 매년 비슷하게 듣고 있고. (외부) 강사가 오셔서 자기네 업체 홍보하고… 이런 것들이 교육이냐는 거죠." <br> <br>돌보미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는 것도 불안감을 키운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부모에게 주어지는 정보는 돌보미의 이름과 나이, 주소 정도입니다. <br> <br>[정부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자] <br>"어떻게 채용된 사람이고, 신상에 대해 전혀 모르기 때문에… 엄마들도 그 정도는 충분히 알 권리가 있지 않나… " <br> <br>정부는 뒤늦게 사과했습니다. <br><br>[진선미 / 여성가족부 장관] <br>"아이돌보미의 자격이나 교육에 대해서 각별히 신경쓰도록 하겠습니다." <br> <br>정부는 다음주부터 아동학대 전수 조사에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뒷북 대책이라는 비판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 <br>grac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박희현 <br>영상편집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