군과 경찰이 제주 4.3 사건에 대해 사건 발생 71주년 만에 처음으로 유감과 애도의 뜻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도, 사죄나 사과 표현이 들어간 공식입장은 내놓지 않았는데요, 4·3 사건을 둘러싼 논란과 갈등을 해소하는 계기가 될 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세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주 4·3사건 희생자 추모 공간이 마련된 광화문 중앙광장. <br /> <br />서주석 국방부 차관이 방미 중인 정경두 국방장관을 대신해 이곳을 찾았습니다. <br /> <br />서 차관은 이 자리에서 희생자 유족들에게 유감과 애도를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주석 / 국방부 차관 : 저희가 정말 죄송한 마음을 가지고 있고요. 앞으로 진상 규명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 최선을 다해 적극 동참하고...] <br /> <br />군의 이 같은 입장은 4·3 사건이 일어난 지 71년 만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국방부도 1문장짜리 입장문을 발표했는데, <br /> <br />유족들은 군의 조치가 여전히 미흡하다며 한층 더 달라진 모습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신종원 / 유족 : 사과의 시작이라고 생각했습니다...등] <br /> <br />앞서 민갑용 경찰청장도 경찰 수장으로서는 처음으로 4·3사건 추념식에 참석해 사죄의 뜻을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[민갑룡 / 경찰청장 : 경찰의 행위에 대해서는 반성적으로 성찰하면서 다시는 이런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경찰은 오로지 국민만을 생각하며 국민을 위해 헌신하는 민주·인권·민생 경찰로 거듭나겠습니다.] <br /> <br />군경의 공식 입장문에는 그러나 사과나 사죄의 표현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4·3 사건이 무장봉기였고, 이를 진압했다는 기존의 입장을 놓고 여전히 내부 논의가 진행 중임을 읽을 수 있는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책임을 인정하면 진압 공적 서훈이 취소되거나 책임자 처벌 등은 물론 진압작전 자체의 정당성 논란까지 확산할 우려를 감안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그럼에도 4·3 사건에 대한 군경의 작은 입장 변화가 70년 넘게 이어온 논란을 매듭지을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세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40322172867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