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부적절한 신체접촉 논란에 휩싸인 조 바이든 전 미국 부통령이 입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사과는 없었고, 애매한 해명만 했습니다. <br> <br>김윤정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바이든 전 부통령이 '나쁜 손' 논란에 대해 직접 입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전 미국 부통령] <br>"개인 공간의 경계가 재설정됐습니다. 이해했습니다. 앞으로 개인 공간 존중에 유념하겠습니다." <br><br>개인 공간, 즉 낯선 사람과 일정한 거리를 둬서 과도한 신체 접촉 논란을 피하겠단 겁니다.<br> <br>펠로시 의장의 충고와도 일맥상통합니다. <br> <br>[낸시 펠로시 / 미국 하원의장] <br>"저는 팔을 쭉 뻗을 만큼 거리를 두는 클럽 회원이에요. 바이든은 개인공간을 중요시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걸 이해해야 해요." <br><br>미국에서는 실제로, 성인이 팔을 뻗었을 때 거리, 즉 80cm 정도를 기준으로, 낯선 이와 만났을 땐 94cm의 거리를 유지하길 원합니다.<br> <br>[이동귀 /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] <br>"(미국에선) 어떻게 가르치냐면, '네가 양팔을 뻗어', 원을 그려요. 그 공간 안은 내 공간인거에요." <br> <br>바이든의 해명에도 미국 여론은 싸늘합니다. 그의 행동이 불쾌했단 여성들에게는 어떤 사과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 <br><br>"개인 공간을 존중한다는 바이든에게 훌라후프를 줘야 한다"며 비꼬는 칼럼이 올라왔고, 민주당원 10명 중 3명이 '바이든은 젊은층과 거리가 멀다'고 답했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.<br> <br>바이든은 해명 영상을 통해 정면 돌파 의지를 보였지만 이미지 회복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정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손진석 <br>그래픽 박진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