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광연 앵커, 박석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제진주,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/ 김승배, 한국기상산업협회 기상본부장 <br /> <br /> <br />정부가 강원 지역에 재난 사태 선포까지 한 상황인데요. 향후 피해 규모에 따라서 특별재난지역 선포까지도 검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화재 원인과 진화 상황. 이번에는 전문가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 제진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그리고 김승배 한국기상산업협회 기상본부장님 나와 계십니다. <br /> <br />안녕하십니까? 일단 시청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강원도 일대에서 발생한 이번 화재 원인 관련해서 저희가 증거 화면을 준비했거든요. <br /> <br />보고 나서 계속 대담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. 이번 불은 전국 각지에서 지원된 소방 차량은 물론이고 불길 잡는 데 군병력이 2만여 명까지 동원될 정도의 큰 규모의 산불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산불 최초 발화지점은 강원도 고성군 원암리 도로변이었는데요. 소방차가 바로 출동했지만 초속 30m가 넘는 강풍을 타고 인근 산으로 번진 겁니다. <br /> <br />강풍은 이따가 잠시 뒤에 본부장님께 여쭤보고요. 고성에서 시작된 불은 인근 속초까지 거대한 산불로 번졌는데 속초 천진리, 또 장사동 이렇게 두 갈래로 불길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강릉 옥계면 야산에서도 산불이 발생해서 망상해수욕장 인근까지 빠르게 번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이에 앞서 인제 남전리에서도 산불이 발생해서 지금도 한창 진화가 한 80% 정도 진화됐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피해 면적은 잠정적으로 고성, 속초가 250헥타르, 강릉 옥계, 망상 그리고 여기까지가 250헥타르, 또 인제가 25헥타르로 집계되고 있습니다. 원인을 한번 살펴보면 처음에는 변압기 화재가 지목이 됐었지만. <br /> <br />고성 산불의 원인이 처음에는 변압기 화재로 지목됐었지만 한국전력은 조사 결과에 최초 발화지점이 개폐기 연결 전선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개폐기에 연결된 전선에 스파크가 발생하면서 개폐기 주변에도 불이 붙은 것으로 추정된다는 설명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산불의 이동 상황과 그다음에 고성 산불의 원인까지 짚어봤는데 교수님, 먼저 지금 일단 큰 불, 주불은 잡힌 상황이거든요. <br /> <br />인제 같은 경우 20% 정도의 잔불이 남은 상황인데 지금 시점에서 이제 저녁 7시가 넘은 시각인데 어떤 점이 중요하다고 보십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일몰이 돼서 어두우면 산에 출입을 할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40519034748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