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미 정상이 만나 북미 대화 재개 방안을 모색하지만, 상황은 하노이 이전보다 녹록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경제 건설에 집중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, 대북 제재 완화 없이 북한을 테이블에 앉힐 방법을 찾는 것이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주 백두산이 있는 삼지연군에서 올해 첫 경제 시찰에 나선 북한 김정은 위원장. <br /> <br />일주일 사이 원산 관광지와 양덕 온천에 이어 평양 백화점까지, 전국 곳곳을 돌며 경제 행보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정은 체제 2기의 본격적인 출범을 알릴 최고인민회의 핵심 의제도 '경제 건설'에 집중될 것이란 관측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경제발전 5개년 계획이 목표로 한 2020년까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, 국가기관 인선에 세대교체가 이뤄질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 위원장이 1년 넘게 대외 경제 여건 개선에 공을 들였지만, 끝내 제재 완화에 실패한 상황에서 이에 대한 언급이 있을지도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[양무진 /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: 내부적으로는 자력갱생, 경제중시 이것을 강조하고 미국이 지속적으로 압박 제재한다면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다, 이 정도의 기존 주장을 재확인하는 메시지 정도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….] <br /> <br />이렇듯 북한의 관심은 경제 발전을 이끌 대북제재 완화지만, 미국은 한층 강경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 정상이 만나더라도 대북 제재와 비핵화 해법에 대한 북미 간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면 대화 재개를 이끌 묘수를 찾기도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톱다운 방식의 문제 해결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해서라도 정상 간 신뢰는 유지하려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4·27 남북 정상회담 1주년을 앞두고 문재인 대통령이 귀국 이후 본격적인 남북 대화를 타진할 가능성이 커 남북미 정상 외교가 다시 작동할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선[sun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40919303287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