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과 중국 등에서 독립을 위해 헌신한 애국지사 3명의 유해가 고국의 품으로 돌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지금까지 모두 139구의 유해를 국내에 봉환했는데, 미처 알려지지 않았던 해외 독립 운동가들의 발자취를 찾아 나설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세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김태연·강영각·이재수 애국지사의 유해가 엄숙한 분위기 속에 봉영식장으로 들어옵니다. <br /> <br />올해 3·1 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3명의 애국지사는 미국과 중국에서 독립 활동에 평생을 헌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강영각 지사는 1925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임시정부에 가입해 활동하고, 1932년 4월 윤봉길 의사의 폭탄 투척 의거에 고무돼 독립 자금 마련에 앞장섰습니다. <br /> <br />또 신문 발간으로 고국의 소식을 알리며 민족 의식을 높이는데 크게 힘썼습니다. <br /> <br />[수잔 강 / 강영각 지사 딸 : 내 아버지는 내 인생에 영감을 줬습니다. 내가 거의 2살 무렵에 돌아가셨지만 사람들이 존경했던 아버지의 업적들은 저를 고무시켰습니다.] <br /> <br />이재수 지사 역시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농장일과 야학을 하며 교포들에게 역사를 가르쳤고, 1917년에서 1944년 사이 여러 차례 독립 운동 자금을 지원했습니다. <br /> <br />[케네스 데이비드 김 / 이재수 지사 외손자 : 할아버지는 한국으로 돌아온 것을 매우 자랑스러워 하실겁니다. 그리고 매우 좋아하실 것이고 영광스러워 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김태연 지사는 20대에 항일 운동에 나섰고, 3.1 운동 직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해 임시정부 의정원 서기, 구국 모험단원 등으로 활약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애국지사 3명의 봉영식에는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해 유족, 광복회원, 이북5도민, 학생 등 6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946년부터 지금까지 고국의 품에 안긴 해외 독립애국지사는 모두 139명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해외에 있는 독립 애국지사들의 유해 봉환을 지속적으로 이어감으로써, 한때 묻혀있던 우리 독립운동의 역사를 한층 더 널리 알리는 데 힘쓸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세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40920010244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