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낙태죄 위헌 결정이 내려지자 헌법재판소 앞은 희비가 엇갈렸습니다. <br> <br>반대 측과 찬성 측의 맞불집회까지 열렸습니다. <br> <br>계속해서 이다해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현장음] <br>"낙태죄 헌법 불합치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!" <br> <br>낙태죄 반대 목소리를 높였던 집회 참가자들 사이에선 환호성이 터져나옵니다. <br> <br>낙태죄를 찬성했던 쪽에선 실망스런 표정을 감추지 못합니다. <br> <br>낙태죄 찬반, 양측의 집회는 낙태죄 위헌 결정이 내려진 이후에도 1시간 넘게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일반 시민들의 반응도 엇갈렸습니다. <br> <br>[권다은 / 경기 용인시] <br>"(낙태가) 나쁜 거라고 배웠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을 해왔는데 커서 보니까 본인 몸이잖아요. (여성) 본인이 선택을 하는게 맞지 않나." <br> <br>[김주용 / 경기 고양시] <br>"생명은 존엄한 거니까 (처벌하는게) 맞는 얘기죠. 낙태를 너무 도덕적인 죄의식 없이 남발할 수 있겠죠." <br><br>지난달 복지부가 발표한 낙태 실태조사 결과에선 여성 75%가 낙태죄를 처벌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답해 달라진 사회인식을 보여줬습니다. <br><br>의료계는 헌재의 판단을 우선 환영했습니다. <br> <br>다만 내년 말까지는 현행법이 그대로 유지돼 의료현장에서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합니다. <br><br>[김동석 / 대한산부인과의사회장] <br>"법개정 이전까지 인공임신중절 수술의 허용 사유와 불가 사유를 명확히 규정해서 환자의 진료권을 보장해야 합니다." <br> <br>낙태죄 폐지를 강하게 반대했던 천주교계는 헌재 결정에 깊은 유감을 나타냈습니다. <br> <br>또 임신과 출산에 대한 남성의 책임을 강화하는 등 낙태가 아닌 출산을 선택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선행돼야한다고 촉구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cando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정기섭 추진엽 <br>영상편집: 이재근 <br>그래픽: 권현정 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