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항공사업을 이끄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이 동시에 수장 공백 상태를 맞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3세 경영'으로 전환 여부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, 상속세나 경영권 분쟁, 기업 회생 가능성 등 앞날은 한마디로 안갯속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현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조양호 회장의 갑작스러운 별세로 수장을 잃은 한진그룹! <br /> <br />이미 총수 일가의 '갑질' 논란에다 조 회장의 대한항공 사내이사직 상실로 어수선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핵심 계열사인 대한항공을 중심으로 경영 체제에 큰 변화가 불가피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대한항공은 아직 그룹 경영권 승계와 관련해 결정된 것이 없다는 입장이지만, 아들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의 이른바 '3세 경영'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2천억 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속세 문제에다 그룹 내 리더십 확보 문제, 또 한진칼 2대 주주인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의 경영권 분쟁 등은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. <br /> <br />금호아시아나 그룹도 박삼구 회장이 유동성 위기에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서 '3세 경영' 이슈가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금호아시아나는 박 회장 퇴진 이후 전문경영인 체제에 들어가겠다고 밝혔지만, 업계에서는 박 회장의 장남 박세창 아시아나IDT 사장의 3세 경영 여부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박삼구 회장의 갑작스러운 퇴진 결정으로 승계 작업이 본궤도에 오르지 못한 데다,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상황에서 자구안으로 제시한 5천억 원 요청에 대해 채권단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당장은 3세 경영으로의 전환이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박주근 / CEO스코어 대표 : 경영권 안정화가 급선무일 것입니다. 이를 위해 견제 가능한 지배구조의 투명화를 통해 특정인들의 사익을 우선시하는 경영방식을 바로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.] <br /> <br />국내 항공사 양대 축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! <br /> <br />두 수장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면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중대 갈림길에 섰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41406153056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