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국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휘발유 가격이 8주 연속 상승한 데 이어, 서울에선 올해 처음 휘발윳값이 1,500원을 넘어선 주유소도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다음 달 유가 상승을 부추길 요인이 안팎으로 몰리면서 휘발윳값 급등 우려가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. 최아영 기자! <br /> <br />다음 달부터 유류세 인하 폭이 7%로 절반가량 떨어지는데, 여기에 더해 국제유가 상승 조짐도 심상치 않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먼저 지난주 전국 주유소 휘발윳값 먼저 살펴보면요. <br /> <br />보통 휘발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1ℓ에 10.3원 오른 천408.3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8주 연속 오름세를 지속한 데 이어, 오름폭도 두자릿수로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다음 달에 기름값 폭탄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, 유류세 인하 폭이 현행 15%에서 다음 달부터 7%로 줄면서 직접적 상승 요인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 입장에선 애초 계획대로 아예 인하 정책이 끝나는 것보다는 부담이 덜하지만, 인하 폭 축소로 다음 달 7일부터 휘발유는 1ℓ에 65원, 경유는 1ℓ에 46원 오르게 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대외 유가 상승 흐름도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지난해 이란산 원유 수입에 제재를 가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8개 나라에는 한시적 예외를 인정했지만, <br /> <br />다음 달까지 이 예외 조치를 연장할지를 결정해야 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예외국으로 다시 인정받더라도 허용 수입량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석유수출국기구의 감산이 올해 말까지 연장될지도 변수입니다. <br /> <br />OPEC은 6월 말까지 하루평균 산유량 120만 배럴을 줄이기로 합의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또 하루 평균 원유 130만 배럴을 생산하는 리비아에서 이달 초부터 내전이 발생한 점도 국제유가 상승 요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41410213922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