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QLED 효율↑ 기술 개발...자연 색 구현 앞당겨 / YTN

2019-04-16 28 Dailymotion

TV 화면의 선명도가 하루가 다르게 좋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QLED, 즉 양자점 발광다이오드가 OLED의 뒤를 이을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떠올랐는데요. <br /> <br />이 QLED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자연에 가까운 색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수요가 늘면서 QLED 즉, 양자점 발광다이오드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OLED, 유기발광다이오드가 유기물을 이용했다면 QLED는 유기물 대신 스스로 빛을 내는 반도체 입자인 양자점을 활용하는 기술입니다. <br /> <br />QLED 디스플레이는 전극에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양자점에서 만나 빛을 내는 원리이지만 불균형 이동이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전자는 위아래로 잘 이동하지만, 정공은 이동이 더뎌 QLED의 성능을 떨어뜨리고 수명을 짧게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QLED 양자점의 표면을 바꿔 이 불균형 문제를 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수경 /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연소자연구그룹·제1저자 : 양자점에 특별한 화학적 처리를 해주었습니다. 이를 통해 전자-정공 주입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양자점 디스플레이의 최대 밝기를 더 높여주고, 효율을 향상하고, 그리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.] <br /> <br />기존 소자보다 밝기는 4.5배, 전류 효율 1.7배, 전력 효율은 2.3배가 향상됐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이 기술은 모든 색상의 양자점에 똑같이 적용할 수 있어 QLED 상용화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이현구 /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연소자연구그룹장 : TV 디스플레이 외에도 최근에 이제 5G 시대에 걸맞게 AR, VR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데요. 거기에도 활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연구 성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'저널 오브 머터리얼즈 케미스트리 C' 3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차세대 디스플레이 QLED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이 기술은 자연 색상에 한발 다가선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정우[leejwoo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41703295900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