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봄을 맞아 유치원도 현장학습 철을 맞았죠. <br> <br>그런데 유치원들이 현장학습을 줄줄이 취소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카시트 때문이라는데, 무슨 사연인지 최수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<br>이 유치원은 오는 6월과 9월에 예정된 현장학습을 취소했습니다. <br> <br>[A씨 / ○○유치원 교사] <br>"저희가 대절버스를 다 계약해놨으나 카시트 없기 때문에 현장학습을 갈 수 없는 거죠." <br> <br>어린이 보호용 장구인 카시트를 장착한 전세버스를 구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다른 유치원도 상황이 비슷합니다. <br> <br>[박미경 / □□유치원 교사] <br>"사고가 났을 경우에는 법을 어긴 부분에 대해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 (경찰청에선) 이렇게 말씀하시더라고요." <br><br>지난해 9월 법이 바뀌면서 만 6세 미만의 어린이가 전세버스에 탈 경우 카시트를 장착해야 합니다. <br><br>하지만 정작 전국 전세버스 4만 3천여 대 가운데 영유아용 카시트를 장착할 수 있는 버스는 없습니다. <br><br>학부모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입니다. <br> <br>[정공주 / 경기 파주시] <br>"카시트 장착이 안 돼서, 현장학습을 못 간다고 하니까 당황스럽더라고요. 아이들은 얼마나 아쉬웠겠어요." <br> <br>전세버스 업체들도 카시트 의무 장착을 놓고 난감하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[허천운 / 전세버스 업체 관계자] <br>"급작스럽게 성수기 때 예약 잡아놨는데 취소가 되어서, 열 건 정도 취소됐습니다." <br> <br>정부 부처가 카시트 의무와 관련한 법안을 놓고 엇박자를 내면서 유치원과 전세버스 업계 모두 혼란을 겪고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본격적인 현장학습 철인만큼 유치원 교육 현장의 혼란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 <br>newsy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윤재영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