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.19 혁명 59주년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의 저항으로 정부가 바뀌었다고 모두 혁명이라 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정치체제의 근본적이고, 본질적인 변화가 수반돼야 합니다. <br /> <br />4.19가 혁명으로 불리기까지 어려움이 적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4.19가 수립한 민주정부를 무너뜨린 5.16 쿠데타 세력은 4.19를 '의거'로 규정하고 5.16과 함께 헌법 전문에 실었습니다. <br /> <br />'4·19의거와 5·16혁명의 이념에 입각'한 민주공화국을 건설하겠다며 '혁명'의 이름을 5.16에 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전두환 정권 때 헌법에서 아예 삭제되는 수모를 겪었고 현행 헌법인 1987년 헌법에서 재기술 됐을 때도 혁명은 허락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1994년 문민정부 때 비로소 혁명으로 공식화 됩니다. <br /> <br />불의한 권력에 저항한 역사적 사건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 논란과 고민이 이어졌던 사례는 또 있습니다. <br /> <br />5.18은 1995년 특별법 제정과 함께 '민주화 운동'으로 규정됐고 2년 뒤 국가 기념일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항쟁으로 불려온 6.10은 2007년에 이르러서야 국가 기념일로 지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또 하나의 이름 찾기가 진행 중입니다. <br /> <br />3.1운동입니다. <br /> <br />'운동'으로는 역사적 의미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으니 다른 이름을 찾자는 목소리가 100주년을 맞아 더 커지고 있고 정부에서도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력한 대안으로 꼽히는 건 '3·1 혁명'입니다. <br /> <br />황제가 통치하는 제정을 주권자가 국민인 공화정으로 바뀌게 한 사건인만큼 운동보다 혁명이 적확한 규정이라는 주장입니다. <br /> <br />여론도 긍정적이지만 3.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일을 계기로 삼지 못한 만큼 향후 개헌 등의 새로운 계기가 필요해 보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41913553751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