진주 흉기 난동 사건으로 조현병 환자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조현병 환자 자체가 위험한 게 아니라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가 문제인데요. <br /> <br />사각지대에 있는 환자들을 찾고 치료를 돕는 시스템 마련이 시급합니다. <br /> <br />박종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나라의 조현병 질환자는 인구의 1%인 50만 명 정도로 추정합니다. <br /> <br />일반적으로 범죄와 폭력의 위험성이 매우 낮고 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피해망상 증세를 보이는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문제가 달라집니다. <br /> <br />타인에게 폭력을 가하는 일이 잦아지고, 흉기까지 휴대하게 되면 흉악범이 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수정 /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 : (다른 사람이) 본인을 음해하거나 공격한다 생각해서 흉기를 지니고 다니는 사람들이 있어요. 사소하게는 흉기 난동부터 결국에는 인명피해까지 나는….] <br /> <br />진주 흉기 난동사건의 피의자인 안인득이 바로 이런 경우에 해당합니다. <br /> <br />안인득은 지난 2010년 대학생에게 흉기를 휘둘러 경찰에 구속됐지만, 심신미약을 이유로 집행유예 처분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치료감호와 같은 강제적 조치도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안인득 처럼 치료받지 않고 증세가 악화되어 범죄를 저지를 위험이 높아지는 환자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합니다. <br /> <br />사각지대에 있는 환자를 찾고 적절한 치료를 돕도록 병원과 정신건강복지센터 그리고 경찰 사이의 정보 공유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승환 /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: (공격적인 성향을 갖고 있는 것이 명확하다고 생각되는 환자는) 치료 순응이 안 되고 치료 상황을 벗어나려고 할 때는 그런 환자들에 대한 정보들을 공권력과 공유할 수 있는 안전한 제도적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이와 함께 환자들이 사회에 잘 적응하도록 직업 재활 시설이나 공동 생활 가정을 구축하는 것도 대안이라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YTN 박종혁[johnpar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41921565012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