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문책을 받고 통일전선부장에서 물러났죠.<br><br>북한이 김영철 부위원장을 교체했으니까 이제는 미국을 향해서 폼페이오 국무장관. 협상대표에서 교체 한 것을 다시 한번 요구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김정은 위원장의 복심으로 불리며 정상외교 때마다 자리를 지켰던 김영철 부위원장. <br> <br>하지만 하노이 회담 결렬로 문책을 당하며 입지가 좁아졌습니다. <br> <br>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공사는 지난해 싱가포르 회담 전 "김영철이 북미 외교와 남북관계 총책이란 분에 넘치는 자리에 있다"며 "삐걱거리는 순간 모든 책임은 김영철이 질 것"이라고 예언했는데 그대로 된 겁니다.<br> <br>김영철은 당 부위원장과 국무위원 직책을 유지했지만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통일전선부장에서 교체됐습니다. <br> <br>또 대미 협상은 리용호 외무상과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에게 자리를 완전히 내줬습니다. <br> <br>앞서 북한은 협상 파트너인 폼페이오 장관 교체를 요구했지만 미국은 일축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[폼페이오 / 미 국무장관 (지난 19일)] <br>"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. 북한과 계속 협상할 것이고, 제가 여전히 협상팀을 맡게 됩니다." <br><br>하지만 북한이 김영철을 먼저 교체한 만큼 미국에도 책임자 교체를 더욱 강하게 압박할 가능성이 큽니다. <br> <br>김영철이 빠지면서 대남 정책도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. <br><br>우리 통일부 격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한미 연합 공군 훈련에 대해 "군사합의 위반이자 노골적인 배신행위"라고 비판했습니다.<br><br>그러면서 "남북관계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"고 경고했는데 조평통이 담화로 남측 비난에 나선 건 1년 3개월 만에 처음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 <br>srv1954@donga.com <br>영상편집: 김민정 <br>그래픽: 박정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