판문점 선언을 계기로 시작된 지난 1년 남북 관계 변화는 북미 비핵화 협상에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, 북한은 하나로 묶여 있던 남북미 대화 틀에서 대남·대미 창구를 분리하기 시작했는데요. <br /> <br />향후 비핵화 협상에 어떻게 작용할지 주목되는 가운데, 우리는 아직 기존 틀에 얽매여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강정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년 동안의 비핵화 대화에서 남-북-미는 하나의 틀로 묶여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, 이 같은 3자 구도는 사실상 깨졌습니다. <br /> <br />남북 정상의 9·19 평양 선언에 담긴 '조건부 영변 폐기'안을 미국이 거부하자, 북한은 우리의 중재 역할에 노골적인 불만을 표출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[北 조선중앙TV (지난 13일) : 오지랖 넓은 중재자, 촉진자 행세를 할 것이 아니라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되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그동안 남북미 대화를 주도해 온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을 전격 교체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. <br /> <br />대신 리용호와 최선희, 외무성 투톱을 전면에 내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대남·대미 창구를 따로 떼어 내 분리 운영하겠다는 구상입니다. <br /> <br />새로 취임한 장금철 통일전선부장의 첫 작품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통한 대남 비난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 연합 공중 훈련을 트집 잡아 대응 행동에 나서겠다고 위협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동엽 /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연구실장 : (우리가) 지금의 변화를 잘 읽고, 남북 관계만의 특별함을 만들 수 있도록 접근하면 가능성이 있지만 자꾸 북미 관계, 비핵화와 연결 시켜서 가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면 남북관계는 별로 희망이 없다고 봅니다.] <br /> <br />판문점 선언 1주년과 함께 북한이 대남-대미 창구에 변화를 시도하면서 향후 비핵화 협상 구도에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, 우리의 대북 정책도 달라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42704435865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