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A형 간염 감염이 수도권과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A형 간염은 물이나 음식을 통해 감염되는 제1군 감염병으로 집단 발병이 우려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황선욱 기자! <br /> <br />환자 발생이 어느 정도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질병관리본부 집계를 보면 전국의 A형 간염 확진자는 3천597명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한 해 감염자 2천436명보다 47.7%, 천 백여 명 많은 숫자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추세라면 최근 감염자가 가장 많았던 2017년의 4천4백여 명을 크게 넘어설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시·도별로 보면 경기도가 1천60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대전이 615명인데 두 지역 환자가 전국의 46%를 차지합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감염자 수가 계속 늘고 있는 건데 경기도의 경우 지난달에 347명, 이번 달에는 449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대전은 지난달 225명, 이번 달에만 172명의 환자가 추가로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·대전 다음으로는 서울, 충남, 충북, 인천 순으로 감염자가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수도권과 충청 지역에 환자가 많은데 원인은 나왔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감염되면 고열, 복통, 구토, 설사 증상이 나타나는데 보건당국이 역학조사를 하고 있지만 아직 원인을 찾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러스 잠복기가 다른 감염병보다 길기 때문에 원인 파악이 어려운데요. <br /> <br />잠복기가 2주에서 길게는 50일이나 돼 이 기간에 집단 감염자들이 무엇을 함께 섭취했는지, 파악이 어렵다는 게 보건 당국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반면에 노로바이러스나 세균성 이질, 장티푸스 같은 수인성 감염병은 하루, 길어도 2∼3일 뒤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원인 추적이 상대적으로 쉽습니다. <br /> <br />나이를 보면 30∼40대가 70% 이상인데 20대 이하는 예방접종을 통해, 50대 이상은 자연감염을 통해 항체를 가진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보건당국은 A형 간염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게 최선이라고 조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YTN 황선욱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42812081393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