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B국민과 신한 등 시중 4대 은행들이 올해 1분기에도 대출 금리와 예금 금리 차액으로만 5조 원이 넘는 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들이 이자 수익에 의존한 성장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, 수입 다변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오인석 기자 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국내 은행들은 대출 금리는 높게 매기고 예금 금리는 적게 주는 이른바 예대마진 폭이 커지면서 약 40조 원에 달하는 막대한 이자 이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 됩니다. <br /> <br />높은 진입 장벽 안에서 '땅짚고헤엄치기'로 돈을 버는 은행들의 이자 수익 영업은 올해 1분기에도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KB국민과 신한, 우리, KEB하나은행 등 시중 4대 은행의 1분기 이자이익은 1년 전보다 6% 증가한 5조 6천 228억 원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은행이 가장 많았고, 신한과 하나은행이 뒤를 이었습니다. 증가율로는 신한은행이 가장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4대 시중은행의 1분기 전체 당기순이익은 신한은행이 소폭 증가했을 뿐, 나머지 3곳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1년 전보다 10.6%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기순이익이 감소한 것은 국민과 하나은행은 퇴직비용 영향이, 우리은행은 지주사 설립과정에서 발생한 회계상 손실이 고려됐습니다. <br /> <br />1분기 4대 시중은행의 금융상품 판매 수수료 같은 비 이자이익은 1년 전 보다 3.7%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들이 대출에 의존한 이자 이익에 주력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수입 다변화 노력이 부족했다는 지적 입니다. <br /> <br />[윤창현 / 서울시립대 교수 (前 금융연구원 원장) : 시중은행들의 비(非)이자수익 비중이 매우 낮은데요. 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은행들이 다양한 노력을 해야 된다고 보고요. 감독 당국도 이러한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한 규제 완화 같은 방법을 많이 강구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이자 이익에 의존한 은행들의 '잔치'가 계속될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가계 대출 억제 정책과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은행들이 예전처럼 손쉽게 수익을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입니다. <br /> <br />YTN 오인석[insuko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42818090862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