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자유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4당 원내대표는 향후 패스스트랙 법안처리 일정을 논의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><br>문무일 검찰총장의 반발과 무관하게 필요한 절차를 빠르게 밟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최장 330일이 걸리는 절차를 180일까지 줄이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패스트트랙 지정 이후 여야 4당 원내대표들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 <br> <br>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부르지 않은 채 한 목소리로 한국당을 압박했습니다. <br> <br>[김관영 / 바른미래당 원내대표] <br>"자신에게 불리하다고 해서 논의 조차 거부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." <br> <br>[윤소하 / 정의당 원내대표] <br>"오늘 오후라도 5당 원내대표 회동을 제안합니다." <br> <br>[장병완 / 민주평화당 원내대표] <br>"당장 내일부터 추경안 및 민생관련 법안 심의에 나서 주십시오." <br> <br>패스트트랙 일정을 단축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도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[홍영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>"4당 원내대표가 패스트트랙 처리 이후 상황에 대해서 논의를 했습니다." <br><br>패스트트랙 여정은 최장 330일입니다. <br> <br>국회법에 따라 사법개혁특위와 정치개혁특위에서 별도의 소위인 '안건조정위원회'를 구성해 표결을 빨리 진행한다면 상임위 논의 기간을 180일에서 절반 가량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. <br> <br>또 국회의장 권한으로 본회의 심의 기간도 줄일 수 있어 연내 처리도 이론상 가능합니다.<br> <br>[심상정 / 국회 정치개혁특위 위원장 (어제)] <br>"연내 최종 처리될 수 있도록 여야 의원님들과 함께 노력하겠습니다." <br> <br>기간을 단축하려는 여야 4당과 이를 저지하려는 한국당의 대치가 조만간 다시 시작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한규성 이호영 이준희 <br>영상편집: 이희정 <br>그래픽: 임 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