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알약·젤리로 마약 투약 진화해도…수사망에 딱 걸린다

2019-05-01 1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영화 속에선 팔뚝에 난 주사바늘 자국을 필로폰의 흔적으로 여겨지곤 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젠 필로폰도 알약 형태로 팔린다는군요. <br> <br>이렇게 범죄의식이 줄어드는 것이 마약 확산의 이유 가운데 하나입니다. <br> <br>여현교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겉으로 보기에 알약처럼 보이지만, 필로폰이 들어간 마약입니다. <br> <br>'야바'라고 불리는 이 마약은 동남아에서 밀반입됐습니다. <br> <br>평범해 보이는 젤리도 대마로 만들어졌습니다. <br> <br>경찰은 최근 외국인 마약 범죄를 집중 단속해 123명을 검거했는데, 알약이나 젤리 형태 마약을 직접 삼키거나, 가루 형태의 마약을 증기로 흡입하는 수법으로 투약한 경우가 많았습니다. <br> <br>[박승훈 / 경찰청 외사계장] <br>"정맥주사를 하는 경우에 신체의 흔적이 남게 됩니다. 알약 형식은 알약을 삼키면 범죄 흔적이 사라지기 때문에…." <br><br>국내 밀반입은 국제우편이나 소포 등 무인배송 방식으로 이뤄지거나 커피와 과자상자 등에 숨겨 직접 운반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투약수법이 다양해지고 있지만 마약성분 검출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. <br> <br>[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] <br>"생체에서 검출하는 것은 똑같아요. (마약검사) 감정 부분으로 크게 달라진 것 없거든요." <br> <br>경찰청은 오는 24일까지 마약범죄 집중단속을 이어갈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여현교입니다. <br><br>1way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기섭 <br>영상편집 : 오성규 <br>그래픽 : 임 솔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