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난 반 년 동안 중단됐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, JSA 관광이 오늘부터 재개됐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남북정상이 지난해 약속했던 남북 관광객의 자유왕래는 아직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반년 만에 관광객을 받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JSA. <br><br>예전에는 중립국감독위원회와 정전위원회 파란색 임시 건물만 둘러볼 수 있었지만 오늘부터는 남북 정상이 함께한 도보다리와 기념식수 터가 관광 코스에 추가됐습니다. <br><br>"제 뒤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담소를 나눴던 장소가 보입니다. 관광코스가 확대됨에 따라 일반 관람객들도 저처럼 두 정상이 걸었던 도보다리를 함께 둘러볼 수 있게 됐습니다." <br> <br>남북 경계병 허리에 있던 권총도 사라졌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바뀐 건 여기까지였습니다. <br> <br>9.19 군사합의 때 남북은 지난 연말까지 '자유왕래'를 약속했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군사분계선을 상징하는 10cm 높이의 콘크리트 경계석은 여전히 남북을 갈라놓고 있습니다. <br> <br>군인들은 관광객들이 군사분계선을 넘지 못하게 지키고 서 있고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실 안에서도 반대편 문을 막고 있습니다. <br> <br>북측 지역 관광객 역시 군사분계선 반대편에서 남측을 지켜볼 뿐입니다. <br> <br>[신웅재 /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] <br>"전쟁을 직접 겪은 세대도 아니고 직접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슬픔이 많이 느껴졌습니다." <br> <br>북한은 JSA에서 유엔사가 철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'자유왕래'는 상당기간 이뤄지기 어려울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 <br>srv1954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조승현 <br>영상편집: 김지균 <br>그래픽: 김민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