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러분 안녕하십니까 <br> <br>국회의 패스트트랙 법안 지정에 대한 검찰 내부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<br>이번에 지정된 검찰 개혁과 관련된 법안은 두 가지입니다. <br> <br>검찰과 경찰의 수사권 조정안, 그리고 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 법입니다. <br><br>청와대의 구상에 공개적으로 반대한 문무일 검찰 총장이 출장일정을 줄이고 조귀 귀국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첫 소식 이동재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해외 출장 중인 문무일 검찰총장이 일정을 중단하고 귀국 일정을 닷새 앞당겨 모레 귀국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당초 4개국을 방문하기로 했지만, 패스트트랙 안건으로 지정된 검·경 수사권 조정안에 정면 대응하려고 남은 에콰도르 방문을 취소했습니다. <br><br>청와대와 정부의 수사권 조정 논의에서 반복돼 온 '검찰 패싱', 그리고 경찰 권한만 늘려놓은 수사권 조정안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[문무일 / 검찰총장(지난해 11월)] <br>"기능을 단순히 (경찰에) 이관하는 문제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는 겁니다. 저희들이 다 내놓으면 경찰하고 검찰 합하면 됩니다. 그렇게 하길 바라십니까." <br> <br>수사권 조정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는 문재인 대통령이 핵심 국정과제로 꼽은 사안입니다. <br> <br>임명권자인 대통령을 향해 직접 불만을 표시하는 건데, 사의를 표명하는 대신 일단 수사권 조정안을 조목조목 비판하는 방식을 <br>택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검사들도 조직적으로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><br>검찰 내부에선 "검찰을 허수아비로 만드는 것"이라거나 "총장이 싸우지 않고 당장 사임하는 건 하수(下手) 중의 하수"라는 의견이 이어졌습니다. <br><br>임기를 두 달 남짓 남겨둔 문 총장 후임으로 거론되는 검찰총장 후보군을 포함해 고검장급 검사들도 문 총장에게 힘을 실어주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검사로서 동의할 수 없는 수사권 조정안에는 강하게 반발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동재입니다. <br><br>mov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재평 <br>영상편집 :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