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런 검찰의 반발에 청와대는 무반응, 무대응입니다. <br> <br>검찰 장단에 맞춰 이슈를 키워줄 필요가 없다는 이유인 것 같은데요. <br> <br>하지만 속으로는 나름의 대책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. <br> <br>청와대의 숨은 대응책을 손영일 기자가 취재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청와대는 문무일 검찰총장 임명 당시 총장 자질로 '검찰 독립성'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박수현 / 당시 청와대 대변인(2017년 7월)] <br>"정치에 줄 대기를 통해 혜택을 누려온 일부 정치검찰의 모습이 있다면 통렬히 반성해야 하고 확실한 책임을 물어야." <br> <br>하지만 7월 말로 임기가 끝나는 문 총장 후임 인선 기준은 조금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검경수사권 조정과 공수처 설치 등 패스트트랙 지정 법안 찬성 여부가 검찰총장 자격요건 0순위가 될 전망입니다. <br><br>청와대 고위관계자는 "사법개혁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자 핵심 국정과제인데 이것을 반대하는 사람을 검찰총장으로 지명하기는 어렵다“고 밝혔습니다.<br> <br>패스트트랙에 동의하는 인물을 검찰총장으로 발탁해 절차를 마무리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과거 노무현 정부 때 송광수 검찰총장이 "내 목을 치라"며 항명해 청와대 뜻대로 검찰을 바꾸지 못한 적이 있습니다. <br><br>후임 검찰 총장 인선은 국회 인사청문회 등을 고려할 때 곧 시작돼야 합니다. <br> <br>다음 달 초에는 검찰총장 후보추천위가 구성돼야 하는 만큼 다음 달 말 청와대가 후보자를 지명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검찰의 조직적 저항을 막기 위해 비검찰 출신 검찰총장 발탁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<br>청와대는 인사를 통해 검찰의 반발을 누그러뜨리겠다는 생각입니다. <br><br>검사장급 이상 검찰 고위간부 인사에서 패스트트랙에 반대하는 검사들은 배제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손영일입니다. <br> <br>scud2007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준구 한효준 박찬기 <br>영상편집 : 최동훈 <br>그래픽 : 전성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