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다음 주면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2주년을 맞습니다. <br> <br>취임 초 파격적인 열린 행보로 국민들의 박수를 받았지만 <br> <br>청와대의 소통이 기대에 못미친단 지적이 많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이 기자들에게 까다로운 질문을 받고, 깊은 고심이 묻어난 답변을 듣는 것은 당분간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> <br>보도에 이동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문재인 / 대통령 (2017년 취임식)] <br>"국민과 수시로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습니다. 주요 사안은 대통령이 직접 언론에 브리핑하겠습니다." <br> <br>취임 100일 기자회견 때는 대통령이 진행자로 나서 사전 조율 없이 질문자를 지정하고 답을 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소통과 파격은 여기까지였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공식 기자회견은 단 3번뿐으로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. <br> <br>브리핑룸에서 기자들과 언쟁을 벌이고 장소 구분 없이 어떤 질문이라도 받는 트럼프 대통령과도 비교되는 부분입니다. 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은 해외 순방 때 어렵게 수행기자 기내 간담회가 잡혀도 불편하거나 민감한 질문은 아예 받지 않습니다. <br> <br>[문재인 / 대통령 (지난해 12월)] <br>"사전에 약속을 어떻게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국내 문제는 질문받지 않겠습니다." <br> <br>그러다 보니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만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[고민정 / 청와대 대변인 (어제)] <br>"과거 어느 정부보다는 야당 대표들, 원내대표들 자주 만난다고 생각하고 여·야·정 국정 상설협의체도 드디어 만들었습니다." <br> <br>다음 주면 취임 2주년이지만 청와대는 별도의 기자회견을 하지 않고 공영방송 KBS와의 단독 대담만 진행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의 소통 창구가 점점 닫히고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동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한효준 김준구 박찬기 <br>영상편집 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