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는 전두환 씨 재판 등으로 5·18 민주화운동에 대한 관심이 더 높은데요, 당시 시민군 대변인이었던 윤상원 열사의 추모 공간이 문을 열고, 고3 학생들이 겪은 5·18 이야기도 책으로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김범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980년 5·18 민주화운동 때 신군부의 폭압에 끝까지 맞서다가 스러진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, <br /> <br />'임을 위한 행진곡'은 윤상원 열사와 들불 야학을 함께한 노동운동가 박기순 열사의 영혼결혼식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윤상원 열사가 남긴 마지막 말은 "오늘 우리는 패배 하지만, 내일의 역사는 우리를 승리자로 만들 것이다" 였습니다. <br /> <br />[이태복 / (사)윤상원 열사 기념사업회 이사장 : 윤상원 동지가 선후배들은 살 길로 가시고 자신은 죽는 길로 가겠다는 선택을 했을 때 광주 항쟁은 비로소 역사의 기록으로 남게 된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윤상원 열사의 숭고한 뜻을 기리는 추모 공간이 5·18 민주화운동이 시작된 모교 전남대학교에 생겼습니다. <br /> <br />[송영길 / 민주당 동북아 평화협력 특별위원장 : 광주를 헐뜯는 수많은 왜곡이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 윤상원 기념관은 모든 국민에게 민주주의를 위해 온몸을 바쳤던 그 삶의 족적을 따라 배우는 소중한 교육의 공간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고등학교 3학년 때 5·18을 겪은 동창생 61명이 가짜뉴스가 판치는 것을 보다 못해 생생한 체험담을 책으로 냈습니다. <br /> <br />직접 계엄군에 끌려가 고초를 겪는 등 참혹했던 5·18의 기록을 뒷받침하는 일화가 고스란히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[임영상 / 광주서석고등학교 5회 동창회장 : 그 당시에 우리가 직접 5·18을 체험했던 사람들이 그냥 있을 수는 없다. 그리고 기억 갖고는 안 되고 기록을 해야만 어떤 내용이 남아 있을 수 있다….] <br /> <br />5·18 때 시위대에 들어가 선동과 정보 수집, 채증을 했던 군부대, '편의대'가 운영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습니다. <br /> <br />책에는 시위를 주도하던 '편의대' 추정 요원에 의해 헌병대에 넘겨져 고문당한 피해 사례도 처음으로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[오일교 / 계엄군 '편의대' 피해 광주시민 : '손들어!' 그래서 손을 이렇게 들었을 것 아닙니까, ('편의대'가) 신분증을 보인 것 같은데 그것이 뭔지는 모르겠고, 보여주니까 (계엄군이) 바로 와서 수갑을 채웠습니다.] <br /> <br />올해 광주 인권상은 필리핀 원주민의 권익 옹호에 앞장선 '조안나 까리뇨'가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.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50600411855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