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봄 발생한 쓰레기 대란 이후 유통업체마다 포장과 배송 과정에서 친환경적인 방법을 속속 도입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최근 급팽창하고 있는 신선식품 새벽 배송 시장에서는 여전히 과대 포장과 막대한 쓰레기 배출 문제가 과제입니다. <br /> <br />신윤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두껍고 큰 종이를 몇 번 접고 끼워 넣으니 접착제 없이도 상자로 조립돼 꽉 닫힙니다. <br /> <br />접착제가 필요할 땐 비닐 테이프 대신 종이테이프를 쓰고, 깨지기 쉬운 물건은 이른바 뽁뽁이 대신 종이를 벌집 모양으로 잘라 감쌉니다. <br /> <br />홈쇼핑업체가 비닐과 부직포 등을 쓰지 않기 위해 도입한 친환경 포장재들입니다. <br /> <br />[임재홍 / CJ ENM 오쇼핑부문 부장 : 연간 10~20% 이상 단가 인상 요인이 있습니다. 이 포장재를 통해서 환경적인 개선을 함으로써 기여도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지난해 '재활용품 수거 거부 사태' 이후 유통업체들은 포장과 배송 과정에서 쓰레기를 줄여나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최근 이용자가 크게 늘고 있는 신선식품 새벽 배송 시장은 사정이 다릅니다. <br /> <br />신선식품 특성상 파손되거나 상하지 않도록 포장해야 하고 그때그때 소량씩 주문하는 경우가 많아 포장재가 쌓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제가 지금 들고 있는 건 '새벽 배송'된 이유식 제품입니다. <br /> <br />토양에서 썩는 데 수백 년이 걸리는 스티로폼 상자에다, 안에는 재활용 분리 배출이 안 되는 보냉 팩까지 들어있습니다". <br /> <br />[강원석 / 서울 북아현동 : 작은 물건을 받을 때 박스, 상자가 크고 그 안에 완충재라고 하죠, 에어 쿠션이 같이 올 때 받고 나서는 나머지 것들이 쓰레기가 되니까 아깝다는 생각을 했습니다.] <br /> <br />이 같은 고객들의 불만이 커지면서 새벽 배송 업체들은 최근 친환경 소재를 쓰거나 포장재 수거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일부 지역과 품목에 한정되거나 아직 시범 운영 중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[새벽 배송 업계 관계자 : (새벽 배송) 사업을 시작한 지 아직은 초창기인 경우가 많습니다. 이 기간은 고객의 신뢰를 더 얻는 게 중요하고 상품의 안정성 확보가 더 중요하다 보니 아직은 환경 부분보다는 이런 안전성에…] <br /> <br />친환경을 넘어 '필환경'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, 유통업계 전반에 얼마나 빨리 확산돼 자리를 잡을지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YTN 신윤정[yjshin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50605510637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