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관련된 이야기, 정치부 유승진 기자와 이어갑니다. <br><br>1. 발사 사흘째, 그렇지만 군도 국정원도 미사일인지를 확정짓지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. 아직도 분석이 덜 된 겁니까? <br> <br>네, 분석이 더 필요하다는 게 군과 국정원의 설명인데요. <br><br>우리 육군도 '현무-2'라는 탄도 미사일을 갖고 있습니다. <br> <br>보시는 것처럼 모양과 성능이 흡사하고, 둘다 러시아의 이스칸데르 미사일을 본떠 개발한 겁니다. <br> <br>우리도 갖고 있는 미사일인데다 북한이 사진까지 공개했는데도 미사일이라고 규정하지 않고 분석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국정원과 군의 설명,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습니다. <br> <br>1-1. 실제 미사일인지 아닌지 분석하는데 이렇게 시간이 오래 걸리나요? <br> <br>통상 우리 정보당국은 북한이 발사체를 쏘기 전부터 움직임을 파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동식 발사대의 움직임과 북한이 발사 직전 내보내는 이상 신호들을 포착하는 건데요. <br> <br>이후 발사를 하면 고도, 속도, 궤적 등을 분석해 늦어도 1시간 내로 미사일인지 아닌지를 언론에 공개해 왔습니다.<br> <br>간혹 가늠이 어려울 때가 있는데 그럴 경우 '불상의 탄도 미사일'이라고 밝히고 추가 분석을 한 적도 있습니다. <br> <br>군과 국정원의 태도가 과거와 다른 건 분명합니다. <br><br>2. 청와대도 첫날 '우려'하고 있다는 입장 발표한 이후론 감감무소식입니다. 취임 2주년을 기념해 한 방송과 대담을 할 예정인데 이 때까지는 입을 다물겠다 이런건가요? <br> <br>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청와대에 물어봤는데 "새로운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추가로 내놓을 입장이 없다" 이런 답변이 돌아왔습니다. <br> <br>오는 9일 문재인 대통령이 한 방송사와 대담을 하는데 이 때 관련된 질문이 나오면 뭔가 답을 할 수 있다, 이런 설명입니다. <br> <br>2-1. 정부의 조심스러운 태도가 보이는군요? <br> <br>맞습니다. 이런 태도는 9.19 군사합의 위반 해석에서도 드러납니다. <br> <br>청와대와 군은 이번 도발이 군사합의 취지는 어긋나지만, 세부 항목을 위반했다고 보긴 어렵다는 애매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군사합의엔 전술유도무기에 대한 세부 조항이 없고, 또 군사분계선 5km 내를 도발의 범위로 한정하고 있어 이번에 북한이 쏜 원산 발사장은 해당이 안 된다는 겁니다. <br> <br>그런데 북한은 연일 선전매체를 통해 우리 군의 연합훈련 등을 '합의위반, 배신행위'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합의위반 여부에 대해 남북의 해석이 크게 다르다,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3. 우리 정부는 북한 도발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는데 오히려 도발을 자행한 북한은 미국은 놔두고 연일 남한 때리기를 하고 있습니다. 이유가 뭔가요? <br> <br>속된 말로 좀 약한 쪽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때리기를 하는 겁니다. <br> <br>오늘도 선전매체를 통해 “중재자, 촉진자 행사를 할 것이 아니라 제정신을 가지고 당사자가 되어야한다”고 우릴 압박하면서 미국에게도 우회 경고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또 어제 조선중앙통신에선 "자주권 생존권 존엄을 해치려 든다면 용납없이 공격하겠다"며 엄포를 놨는데 미국이 볼 수 있는 영문판에서는 이 표현을 삭제했습니다. <br> <br>지금 도발의 타깃이 누구인지 분명해지는 대목입니다. <br> <br>정치부 유승진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