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‘지구 온난화’ 남해는 이미 아열대…10일 빨라진 바닷새 번식

2019-05-06 2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지구 온난화가 우리 남쪽 바다의 생태계를 바꾸고 있습니다. <br> <br>바닷새의 짝짓기 시기는 빨라지고, 열대식물의 서식지도 넓어졌습니다. <br> <br>이다해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갈매기 수만 마리가 떼를 지어 날아다닙니다. <br><br>경남 통영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집단 번식하는 천연기념물, 괭이갈매기입니다. <br><br>매년 6만 마리의 괭이갈매기가 서식하는 무인 섬 홍도엔 갓 태어난 아기 새들도 눈에 띕니다. <br><br>지난달 1일, 첫 짝짓기로 태어난 새끼들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. <br> <br>지난 2003년 첫 번식일이 4월 11이었던 것에 비하면 열흘이나 빨라졌습니다. <br> <br>지구온난화로 먹이가 되는 어류의 개체 수가 늘면서 번식일도 앞당겨진 겁니다. <br><br>[김미란 / 국립공원공단 연구원] <br>"수온이 상승하는 등 해양환경이 변화하게 되면 어류 개체군이 영향을 받아서 (괭이갈매기) 번식시기가 달라지게 됩니다." <br><br>1970년대 13.8도였던 홍도의 연평균 기온은 14.8도까지 올랐고, 같은 기간 바다의 수온도 0.6도 상승했습니다. <br><br>기온이 상승하면서 지난해 홍도에선 아열대성 식물 '고깔닭의장풀'이 발견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2010년 제주도에서 발견된 이후 다른 지역에서 서식하는 게 공식 확인된 것은 처음입니다. <br> <br>홍도 앞바다에 서식하는 29종의 어류 가운데, 자리돔과 범돔 등 아열대성 어종은 절반이 넘는 16종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지구온난화가 우리나라 생태계 변화에 적잖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영상제공: 국립공원공단 <br>영상편집: 이태희 <br>그래픽: 김민수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