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지난해 주택시장 안정 등을 위해 모두 30만 가구 공급계획을 발표했고, 지난해 말까지 3기 신도시 등을 통해 우선 19만 가구 계획을 내놨는데요. <br /> <br />오늘은 나머지 11만 가구의 입지를 확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3기 신도시 추가 발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김현우 기자! <br /> <br />먼저, 정부가 발표한 추가 3기 신도시 지역, 어디로 확정됐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정부가 오늘 오전 10시, 서울청사에서 3차 신규택지 지역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경기도 고양시 창릉동과 부천시 대장동 2곳이 추가 3기 신도시 지역으로 확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이들 2곳에 5만 8천 채를 공급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양 창릉은 서울에서 1km 이내, 대장동은 서울과 맞닿아 있는 지역입니다. <br /> <br />또 서울 사당역과 창동역 복합 환승센터, 왕십리역 철도 부지 등 서울권 택지에도 모두 만 가구의 주택이 들어섭니다. <br /> <br />이밖에 안산 장상과 용인 구성역, 안양 인덕원 등 경기권 지역에도 4만 2천 가구가 추가로 조성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를 포함한 택지 22곳에 공급되는 전체 주택 규모는 모두 11만 채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이미 지난해 9·13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면서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수도권에 30만 채 공급 계획을 발표했는데요. <br /> <br />지금까지 발표된 3기 신도시는 남양주 왕숙과 하남 교산, 인천 계양, 과천 과천동 등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제 3기 신도시 예정 지역이 모두 확정됐는데요. <br /> <br />문제는 2기 신도시도 아직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이 있는 데다, 교통난 등의 문제를 제기하며 1기 신도시 지역 주민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텐데요. <br /> <br />3기 신도시 개발에 대한 정부의 복안은 뭔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정부는 우선 3기 신도시 개발의 가장 큰 목표를 교통 편리성 확보에 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앞세운 목표가 서울 도심까지 30분 이내 출·퇴근 가능한 도시를 만들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설명은 그래서 3기 신도시 예정 지역이 모두 서울로부터 평균 거리가 1km대라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지구지정 단계에서부터 지하철 연장과 간선버스급행 체계보다 우수한 'super-BRT' 등 교통대책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기존 신도시보다 2배 정도 많은 자족용지를 확보해 일자리를 만드는 도시로 만들겠다는 게 정부의 구상입니다. <br /> <br />모든 아파트 단지에 국공립 어린이집을 짓고 유치원도 100% 국공립으로 운영해 이른바 자녀 키우고 좋은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50713475155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