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부의 3기 신도시 계획 발표에 대해 기존 신도시 주민들의 반발이 거셉니다. <br> <br>일산 시민들은 '사망 선고'가 내려졌다는 반응인데요<br> <br>국민청원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김남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4년이 지나면 건축 30년을 넘어서 재건축 대상이 되는 일산 신도시의 아파트입니다. <br> <br>[김모 씨 / 일산신도시 주민] <br>"사는 사람 입장에서 불편하죠.녹물 청소하고 그럴 때 녹물이 많이 나오니까." <br><br>1992년 첫 입주를 시작한 일산신도시에는 20년 이상된 아파트가 60%를 넘습니다.<br> <br> 군사보호구역과 그린벨트, 과밀억제권역까지 삼중 규제가 이곳 개발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. <br> <br> 대기업이나 산업단지도 없는 이곳 주민들 대다수는 서울로 출퇴근합니다. <br> <br> 하지만, 지하철 3호선과 광역버스 외에는 마땅한 대중교통도 없어 주민들의 불만은 커져갑니다. <br> <br>어제 신도시 부지로 발표된 3만8천 가구 규모의 고양 창릉은 서울 경계와 맞닿아 일산 신도시 주민들의 이탈현상이 뚜렷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<br> 이 때문에 일산을 텃밭으로 하는 김현미 국토부장관이 일산 신도시에 사망선고를 내렸다며 국민 청원까지 제기했습니다. <br> <br> 일자리와 노후아파트, 교통 문제를 해결하라는 청원글에 하루만에 6천 명 넘는 시민들이 동의했습니다. <br> <br>[유모 씨 / 일산신도시 주민] <br>"많이 동요하고 있죠 지금. 아까 부동산에 가보니까 집을 팔아야 되느냐 그런 문의를 여러 번 받고 그랬다고… " <br> <br> 하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어 당분간 일산 신도시의 침체는 계속될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김남준입니다. <br> <br>kimgija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이기상 <br>영상편집 : 배영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