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이 내일 취임 2주년을 맞습니다. <br /> <br />남북관계의 진전을 통해 한반도에 평화의 기운을 불러온 점은 가장 돋보이는 성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하노이 회담 이후 북·미 비핵화 대화가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재인 정부 2년의 성과와 과제, 먼저 남북관계와 북한 비핵화 분야를 신호 기자가 진단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9월 우리 대통령이 평양 시민 15만 명 앞에서 사실상 남북 간의 종전을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: 우리 두 정상은 한반도에서 더이상 전쟁은 없을 것이며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열렸음을 8천만 우리 겨레와 전 세계에 엄숙히 천명합니다.] <br /> <br />백두산까지 함께 오른 남북 정상은 영변 핵시설 폐기와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추진 등을 담은 평양 공동선언을 채택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정은 / 북한 국무위원장 (지난해 9월) : 나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가까운 시일 안에 서울을 방문할 것을 약속했습니다.] <br /> <br />취임 첫해 한반도 위기설까지 제기되던 상황은 지난해 초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반전됐습니다. <br /> <br />남북 정상이 한 해 세 차례나 회담하고,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·미 정상회담도 올해까지 두 번이나 개최됐습니다. <br /> <br />개성에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열렸고, 이산가족 상봉 행사도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분단의 상징 DMZ는 66년 만에 '평화의 길'로 개방됐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(지난달) : 세계인들이 '한반도 평화'를 떠올리면 함께 생각나는 지역, 누구나 찾아오고 싶은 곳으로 만들겠습니다. 금강산 관광의 조속한 재개를 위해서도 계속 노력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그렇지만 북한과 미국이 비핵화의 방식을 놓고 타협점을 못 찾으면서 남북 철도 연결도, 금강산 관광과 개성 공단 재개도,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벽에 부딪혔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대한 상응 조치의 방법을 제시하면서 중재해나갔지만, 지난 2월 하노이 북·미 정상회담이 '노 딜'로 끝나면서 비핵화 대화의 엔진이 힘을 잃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가 제안한 '포괄적 합의와 단계적 이행' 중재안에도 반응이 냉담했고, 문 대통령은 4차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하며 돌파구를 모색했지만 대답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(지난달 15일) : 남과 북이 마주 앉아 두 차례의 북미정상회담을 넘어서는 진전된 결실을 맺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50904460437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