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미가 인도적 대북 식량지원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, <br /> <br />북한이 스스로 도움을 청할 정도로 최악의 식량난을 맞은 건 기상 악화와 대북제재 영향이 컸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한반도를 휩쓴 폭염에 폭우까지 겹쳤지만 농업 생산에 필요한 연료와 전력, 기계도 부족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반도 전역에 폭염이 기승하던 지난해 여름, 북한 노동신문 특집기사입니다. <br /> <br />온 나라가 떨쳐나 '고온과의 투쟁'에 나서라고 독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일 평양의 최고기온이 기록을 경신했고, 북부지역인 자강도 만포시도 40도를 웃돌았습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TV (지난해 8월) : 깊은 층 물 뽑아대기 등을 진행해서 농작물들이 가물을 타지 않게 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10만 헥타르가 가뭄에 갈라졌고, 엎친 데 덮친 격인 폭우까지 내리면서 '최악의 식량난'은 현실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유엔 식량농업기구는 연료와 비료, 기계와 부품이 제때 반입되지 못한 것도 원인으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대북제재가 북한의 식량 부족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한 겁니다. <br /> <br />당국의 배급량이 줄었지만, 시장에서 먹거리를 살 수 없는 계층의 피해는 더욱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당국이 외부에 어려운 사정까지 알려가며 국제사회의 도움을 호소한 건 이런 배경 때문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강영식 /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총장 : 해외 동포단체를 통해서 간접적인 지원을 계속 요구하고 있죠. 그건 어렵다는 증명의 표현이고….] <br /> <br />상반기 강수량이 적었던 올해 사정은 더 나빠질 것이란 전망 속에 국제사회와 정부도 인도적 개입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선[sun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50905402802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