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전국 버스가 멈춰서는 사상 초유의 교통대란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버스 총파업을 두고 진행된 전국 9개 지역의 투표에서 모두 총파업이 가결됐는데요. <br> <br>개표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. <br> <br>이은후 기자. 전 지역에서 파업이 결정됐다고요? <br><br>[리포트]<br>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제가 나와있는 서울 은평 공영 차고지에서도 조금전 개표가 끝났는데요, <br> <br>89.3%라는 압도적인 찬성률로 서울지역 버스 노조의 총파업이 결정됐습니다. <br> <br>지금 상황대로라면 오는 15일, 서울지역 노선버스 7400대가 멈춰섭니다. <br><br>한국노총 소속 전국 9개 지역 버스 노조는 어제부터 총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했는데요, <br><br>서울을 비롯해서 경기와 부산, 울산, 광주 등 9개 지역에서 모두 파업 참여를 결정했습니다. <br><br>아직 투표를 진행하지 않은 인천과 대전, 경남 창원의 투표 결과에도 적잖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핵심은 주 52시간 근로제에 따른 인력 충원과 임금 보전 문제인데요. <br> <br>"늘어나는 인건비를 감당할 수 없다"는 버스업계의 주장에 맞서 노조가 '총파업'이라는 강수를 둔 겁니다. <br> <br>버스 파업이 현실화되면 오는 15일부터 전국 노선버스 4만 5천대 중 한국노총 조합원이 기사인 2만 대의 버스가 멈춰서는데요. <br> <br>지자체별로 지하철 증편이나 택시 부재 해제, 관광버스 대체 투입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, 교통대란에 따른 불편은 불가피해 보입니다. <br> <br>결국 오늘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가 비상대책 회의를 가졌는데요. <br><br>파업 예정일인 15일까지 노조를 설득하기 위해 물밑 접촉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서울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정기섭 조세권 <br>영상편집 : 손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