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관련된 이야기 정치부 유승진 기자와 이어갑니다.<br><br>Q1. 북한이 닷새 만에 또 다시 도발을 했는데, 이번엔 합참에서도 바로 미사일로 추정된다고 밝혔더군요?<br><br>네, 특히 북한이 이번에 쏜 곳을 주목해 봐야합니다. <br><br>처음엔 신오리 지역으로 알려졌다가 합참 추가발표에서 평안북도 구성으로 바뀌었죠. <br><br>이곳에서 40KM 정도 가면 북한의 신오리 기지가 있습니다.<br><br>신오리 기지에 북한은 탄도 미사일인 스커드와 노동 미사일 기지를 운용하고 있는데요, 이 미사일을 가져가서 구성에서 쐈을 가능성이 있는 겁니다.<br><br>방금 전 합참 발표에 따르면 미사일 추정 발사체의 사거리는 각각 420km, 270km가 넘는데요.<br><br>사거리라던지, 발사 지점 인근에 탄도 미사일 기지가 있단 점에서 탄도 미사일에 무게가 실리는 겁니다.<br><br>Q2. 그간 북한은 계속 대남 메시지를 내왔는데, 이번에는 누구를 겨냥한 거라고 볼 수 있나요?<br><br>합참 발표대로 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의 사거리가 400KM가 넘었다면, 평안북도 구성에서부터 쟀을 때, 사정거리가 우리나라 수도권은 물론 계룡대까지도 타격이 가능합니다.<br><br>남한 압박카드가 아니라곤 할 수 없고요,<br><br>또 앞서 북한의 도발에 미국이 꿈쩍도 않았던 만큼 재도발을 감행한 건 미국을 향한 메시지라는 분석도 나옵니다.<br><br>Q3. 그렇다면 왜 하필 오늘, 지금 이 시점에 쐈을까요?<br><br>이번주는 한반도 정세를 좌지우지할 상당히 중요한 일정이 집중돼 있습니다.<br><br>그만큼 북한으로선 도발하기 딱 좋은 시점이라고 계산한 듯 합니다.<br><br>먼저 내일이 문재인 대통령 취임 2주년입니다.<br><br>이를 맞아 한 방송사와 대담을 4시간 앞둔 상황이었는데, 이때 최근 발사와 관련한 질문이 나오면 자연스럽게 대답하려고 준비도 했었습니다.<br><br>또 통상 매주 목요일 오후에는 정례적으로 정의용 실장 주재 NSC 상임위 회의도 열어왔었고요.<br><br>그런데 분석이 끝나지도 않은 1차 도발에 이어 북한이 2차 도발로 먼저 남한을 때린 겁니다.<br><br>Q4. 비건 대표도 들어와 있잖아요? 미국도 움직여라 이겁니까?<br><br>네 비건 대표는 내일부터 청와대, 외교부, 통일부 등 정부기관 관계자들을 연달아 만나서 비핵화 협상 돌파구를 모색할 참이었습니다.<br><br>한미 정상 간 통화 등으로 사실상 우리 정부가 내세울 카드가 식량지원임이 공공연해진 상황이었는데, 북한이 이보다 그 이상을 원했다고도 해석해 볼 수 있습니다.<br><br>소위 '식량 지원'만으로는 안 된다, 근본적인 제재 완화를 내놓으라는 대미용, 남한 정부한테는 지금 방한 중인 미국 인사들을 상대로 더 적극 설득해보란 메시지로 읽어볼 수 있습니다.<br><br>어제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이런 정세에서 개성 남북 공동 연락사무소를 찾았죠.<br><br>북한은 소장 대신 임시 소장 대리만 보냈는데, 손에 뭘 갖고 오지 않는 남한 정부는 더 이상 상대하지 않겠다는 걸 분명히 한 것으로 보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