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패스트트랙 안건 지정을 둘러 싼 여야 충돌에서 시작된 무더기 고소·고발건.<br><br>원래는 검찰에 접수됐는데 검찰은 경찰이 수사하라고 지휘했죠.<br><br>국회의원 95명 수사를 떠안은 경찰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<br>여현교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홍영표 / 더불어민주당 전 원내대표 (지난달 30일)] <br>"국회선진화법에 따라 책임을 물을 겁니다." <br><br>[나경원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(지난달 30일)] <br>"추가 고발을 하겠습니다." <br><br>검경 수사권 조정 법안 등을 패스트트랙 안건으로 지정하는 과정에서, 여야가 폭행 등 혐의로 서로를 검찰에 고소·고발한 건은 모두 15건입니다. <br><br>서울남부지검은 이 가운데 13건을 서울 영등포경찰서가 수사하도록 했습니다. <br><br>경찰 손에 맡겨진 수사 대상은 102명, 이 가운데 현역 국회의원만 95명에 달합니다. <br><br>당장 경찰 내부에선 검찰이 '폭탄을 떠넘겼다'는 불만의 소리가 나옵니다. <br><br>한 경찰 관계자는 "담당 수사팀이 20명 밖에 안되는 일선 경찰서에 맡겨 부실 수사를 유도한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><br>다른 관계자는 "국회의원들이 조사에 응하겠느냐"며 수사의 한계를 토로했습니다. <br><br>또 국회의 수사권 조정 법안 처리 과정에서의 정치권 눈치 보기 부담도 감지됩니다. <br><br>검찰에 대한 불편한 기류 속에 민갑룡 경찰청장은 오늘 수사권 조정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. <br><br>[민갑룡 / 경찰청장] <br>"국민의 관점에서 입법이 마무리되기를 저희 경찰은 학수고대하고 있습니다." <br><br>수사권조정에 공개 반발한 문무일 검찰총장과는 달리 정부 여당과 여론을 등에 업겠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. <br><br>패스트트랙 고소고발 사건에 대해선 우선 영등포경찰서가 국회 CCTV를 분석해 조사 대상을 압축한 뒤 지원책을 마련해가기로 정리했습니다, <br><br>채널A 뉴스 여현교입니다. <br><br>1way@donga.com <br><br>영상편집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