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버스 파업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주 52시간 근로제를 맞추기 위해선 결국 돈이 문제인데요. <br> <br>해법으로 버스 요금 인상이 논의 중입니다. <br> <br>특히 경기 버스업체들은 400원 인상을 주장하고 있지만 경기도 측은 200원만 올리는 걸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<br>오늘 경남 창원지역 버스업체 7곳의 노조도 다음주 수요일 파업에 참여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이에 따라 오늘까지 전국 10개 지역의 버스노조들이 90% 넘는 파업 찬성율을 보이면서 교통대란 가능성은 더 커졌습니다. <br> <br>[류근중 / 전국자동차노련 위원장] <br>"사용자와 지자체, 중앙정부가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우리 버스 노동자들은 총파업 투쟁에 당당하게 나서야 합니다." <br> <br>합의가 안 되면 다음 주 수요일 첫차부터 한국노총 조합원이 기사인 전국 2만 대의 버스가 멈춰버립니다. <br> <br>정부는 비상상황에 대비하겠다고 밝혔지만 해결책을 지자체 떠넘기는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[손명석 / 국토부 교통물류실장] <br>"해결책으로는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입니다. 시내버스 요금인상 권한은 지자체에 있습니다." <br> <br>특히 경기버스 요금 인상을 놓고 정부와 지자체, 버스회사 간의 의견이 크게 엇갈립니다. <br><br>버스회사는 52시간 근무제에 따른 인력충원 등을 위해 400원 더 올려야 한다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반면 경기도는 200원 인상을 검토 중입니다. <br><br>하지만 이마저도 통합요금으로 묶여 있는 서울과 인천이 함께 올려야 하며 정부의 재정지원도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파업이 닷새 앞으로 다가왔지만 양측의 입장 차이가 커 접점을 찾기 어려워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grace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조세권 <br>영상편집: 박주연 <br>그래픽: 임 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