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국의 버스 노조가 임금 보전과 인력 충원 등을 요구하며 오는 15일부터 파업을 예고했는데요. <br /> <br />1시간 전인 오후 3시부터 고용노동부와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모여 대책을 논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장하 기자! <br /> <br />회의가 끝났을 텐데요 어떤 대책이 나왔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대책 회의 모두 발언에서 버스업계의 인력 추가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추가재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중앙 정부에서 최대한의 지원책을 준비하고 있으니, 노선버스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지자체도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지자체의 요금인상을 권고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도 정부와 노사, 지자체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면, 해법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버스 노사, 자치단체가 조금씩 고통분담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는 이미 지난주 지자체에 버스요금 인상에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권고한 바 있는데요. <br /> <br />서울, 경기 등 수도권은 지난 2015년 이후 버스요금 인상이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다른 곳도 최근 인상 시기가 2014년 전후인 점을 고려해 이제 인상 시기가 도래했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해법으로 나온 게 결국 요금인상인데요. 서울시와 경기도 등 지자체가 잘 움직이지 않고 있는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과 5대 광역시, 경기도 광역버스는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준공영제는 버스회사 수입을 공동으로 관리하고 모자라면 지자체가 재정지원을 해서 버스를 운행하는 제도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버스회사는 지자체만 바라보게 되는데요. <br /> <br />서울시는 현재 버스 운전 기사들이 노동시간 단축을 지키고 있고, 다른 시도에 비해 추가 인력 수요도 적기 때문에 지금 당장 버스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도는 노동시간 단축을 위해 버스 기사가 더 필요하고 임금 보전을 위해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서울, 인천과 수도권 통합 환승 할인체계에서 경기도만 버스요금을 올릴 경우, 요금 인상 수입이 3곳에 분산돼 인상 효과가 떨어진다며 서울. 인천과 동시에 올려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 이면에는 버스요금 인상에 따른 시민 불만 등 정치적 부담을 나누자는 의도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을 비롯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51216082695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