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국 버스노조 파업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, 고용노동부와 국토교통부가 긴급 회의를 열고 대응책을 논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버스업계의 인력 충원 등을 위해 중앙정부도 지원하겠지만, 지자체가 적극 나서 달라고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자체에 버스요금 인상을 거듭 권고한 겁니다. <br /> <br />김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임금 보전과 인력 충원을 요구하며 오는 15일 파업을 예고한 전국 버스노조! <br /> <br />결국, 오는 7월 주 52시간제 시행에 따라 필요한 재정을 누가 어떻게 마련하느냐가 핵심입니다. <br /> <br />파업이 임박한 가운데 마음이 급한 중앙부처 장관들이 휴일인데도 긴급히 머리를 맞댔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에서도 최대한 지원책을 준비하고 있으니 노선버스 업무를 담당하는 지자체도 적극 나서 달라고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지자체가 요금인상에 나서 달라고 권고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[김현미 / 국토교통부 장관 : (정부도) 고용기금, 공공형 버스 지원 등 최대한의 지원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. 노선버스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지자체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합니다.] <br /> <br />고용노동부는 상황반을 만들어 지자체와 버스노조, 지방 노동청 등에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며 대화를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재갑 / 고용노동부 장관 : 자치단체, 노동위원회와 노동청이 참여하는 지역 내 협의체를 통해 노사 간 교섭을 적극 지원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고위 당정청 회의에서는 이낙연 국무총리까지 나서 국민의 불편을 무겁게 인식해야 한다며, 우선 노조 측의 파업 결의 중단과 대화 동참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한 노조의 다수는 1일 2교대제와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지역이라며, 오는 7월부터 시행되는 주 52시간 근로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크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낙연 / 국무총리 :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임금보전 등을 이유로 해서 파업을 하겠다는 것은 근로시간 단축의 취지를 왜곡할 우려가 있고, 또 다른 의도가 있지 않은가 하는 의심을 살만합니다.] <br /> <br />국토부는 버스노조의 파업 돌입에 대비해 부단체장회의를 열고, 비상수송대책을 구체화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부는 주 52시간 시행 전 1년이라는 유예기간 동안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51300094482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