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전국 버스 노조의 총파업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<br> <br>버스업계는 버스기사의 주 52시간 근무제 실시를 앞두고 대대적인 버스노선 감축과 노선폐지를 예고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특히 경기도는 절반에 가까운 버스 노선이 없어지거나 바뀝니다. <br> <br>먼저 박정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버스 정류장에 노선 변경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었습니다. <br> <br>경기 수원여대를 출발해 서울역 환승센터까지 50km 거리를 운행하던 7900번 광역버스 노선이 지난달부터는 사당역까지만 운영한다는 내용입니다. <br> <br>운행거리가 17km 줄어든 겁니다. <br> <br>[버스업체 관계자] <br>"본인이 사업자 입장이라면 연간 10억, 20억 적자를 보신다면 운행할 수 있나요?" <br> <br>오는 7월 경기 버스 9000대 중 848대가 운행을 중단할 예정인 가운데, 버스 노선에도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. <br><br>경기도 2185개 노선 중 49개는 폐지되고, 317개는 구간을 단축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653개 노선에서 운행횟수가 줄어드는 것까지 합하면 절반 가까운 노선이 바뀌는 겁니다. <br><br>[경기도 관계자] <br>"그만큼 운수 종사자를 뽑아야 하잖아요. 뽑지 못하고 현재 인원 가지고 운행을 하다 보니까… " <br> <br>[김형숙 / 경기 김포시] <br>"불편한 게 많죠. 차라리 더 늘려야지 아침에는 탈 수도 없어요." <br> <br>[이종완 / 경기 안양시] <br>"어쩔 수 없이 이제 전철을 이용해야 될 것 같아요." <br> <br>현행법상 버스회사가 노선이나 운행횟수를 바꾸기 위해선 지자체에 신고해 수요조사를 거쳐야 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업계에선 "주52시간 근로제를 어겨 형사처벌을 받느니, 과징금을 내는 게 낫다"는 반응이 나옵니다. <br> <br>버스 파업의 해법을 찾지 못하면서 시민들의 피해도 커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 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황인석 <br>영상편집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