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버스 파업, 노선 감축으로 인한 시민 불편,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조금 전 세금을 일부 투입한다는 대책을 발표했는데요. <br> <br>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버스 파업이 이틀 앞으로 다가오자 정부가 잇따라 대책을 내놨습니다. <br><br>우선 고용노동부 이재갑 장관은 일자리 나눔지원사업 예산을 통해 인력 충원을 하는 버스 회사에 지원금을 주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일자리 나눔지원사업 예산은 250억 원에 불과합니다. <br> <br>주 52시간 근로제를 정착시키기 위해선 버스 회사들이 새로 기사를 뽑는 데만 8000억 원 넘게 필요한 상황에서 '보여주기 식'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버스 파업 사태를 해결해야 할 책임이 국토교통부에 있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. <br> <br>[이재갑 / 고용노동부 장관] <br>"(버스 파업과 관련해선) 주관 부처를 국토교통부로 지정이 돼 있는 것으로 제가 알고 있고… " <br> <br>하지만 국토부도 지방자치단체에 요금 인상을 압박할 뿐,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은 홍남기 경제부총리까지 나서 요금 인상에 불을 지폈습니다. <br> <br>[류근중 / 한국노총 자동차노련 위원장] <br>"(홍남기 부총리가) 시내버스가 요금이 조정될 때는 됐다고 본다… 개인적인 이런 의견을 말씀하셨습니다." <br> <br>하지만 요금 인상의 열쇠를 쥔 지자체들과는 좀처럼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는 상황. <br> <br>기획재정부는 조금 전 버스 차고지 등 기반시설을 지원하는 한편, 광역교통활성화 사업을 통해 버스 노사를 돕겠다며 파업을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인력 충원과 임금 보전을 요구하는 버스업계와 노조의 요구와는 거리가 있어 파업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 <br>edg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이승헌 <br>영상편집 : 손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