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대학교수, 미성년 자녀 논문 공저자 등재 139건 / YTN

2019-05-13 7 Dailymotion

대학교수가 자신의 미성년자 자녀를 논문 공동 저자로 올린 연구 부정행위가 대거 적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늦은 감이 있지만 정부도 연구 부정 행위자에 대한 제재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종균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논문 작성에 참여하지 않은 미성년 자녀를 논문의 공동 저자로 올린 5개 대학 교수 7명이 적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조사 결과 2007년 이후 10여 년 동안 50개 대학의 87명의 교수가 139건의 논문에 자녀를 공동 저자로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경일대와 포항공대, 청주대, 가톨릭대, 서울대 등 5개 대학 7명의 교수는 12건의 논문에 실제 연구에 참여하지도 않은 자신의 자녀를 공저자로 등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학 측의 부실 검증 정황도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자녀가 연구에 실제 참여했더라도 검증에 문제가 있는 논문이 85건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국가 연구비가 지원된 51건은 연구비 지원 부처에 재검증을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승복 /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: 각 부처에서 재검증한 결과 연구부정으로 판정되는 경우, 대학에 통보하여 징계를 요구하고, 국가연구개발비 환수 및 참여 제한 등의 후속 절차를 밟을 예정입니다.] <br /> <br />교수 자녀에 국한하지 않고 미성년자가 공동 저자로 등재된 논문을 전수 조사한 결과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56개 대학의 교수 255명이 논문 410건에 미성년자를 공저자로 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대학별로 보면, 미성년자가 공저자인 논문은 서울대학교(47건)에서 가장 많이 나왔고, 경상대(36건), 성균관대(33건) 순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대는 교수의 미성년 자녀가 이름을 올린 논문도 14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또 돈만 내면 심사 없이 논문을 발표할 수 있는 부실학회에 참가한 국내 대학교수는 500명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90개 대학의 교수 574명이 최근 5년간 부실학회로 드러난 와셋(WASET)과 오믹스(OMICS)에 총 808차례 참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두 학회에 7회 이상 참가한 교수가 7명이었고 이들 중 5명은 중징계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앞으로 연구 부정 행위자로 판정되면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서 영구 퇴출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종균[chong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51400335062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