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중 무역 갈등이 확전으로 치닫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이 미국의 관세 인상에 맞서 다음 달부터 600억 달러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는데요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하며 최종 담판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수현 기자! <br /> <br />중국은 그동안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강경 대응을 자제해왔는데, 보복 관세 카드를 꺼내 들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정부는 다음 달인 6월 1일부터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복하지 말라고 중국에 경고한 직후 나온 조치인데요. <br /> <br />관세 대상은 모두 5,100여 개 품목입니다. <br /> <br />2,490개 품목은 25%, 1,070개는 20%, 970개는 10%의 관세가 부과되며, 나머지 품목의 관세율은 5%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보복 관세의 대상은 지난해 무역 갈등이 불거진 뒤 미국이 2천억 달러의 중국산에 대해 관세를 인상하자 중국이 관세를 올렸던 미국산 제품들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"미국이 무역 갈등을 고조시키고, 협상을 통해 이견을 해소한다는 원칙을 어기고, 양국 이익을 훼손함에 따라 권리를 지키기 위해 대응했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중국이 이처럼 보복 관세로 맞불을 놓은 배경은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은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데다 매년 막대한 대미 흑자를 보고 있기에 강경 대응은 자제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 1년간 협상 과정에서 성과를 내지 못한 채 미국에 휘둘리는 모습으로 비친 게 부담이 됐을 수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, 계속해서 실무 협상을 진행하면서 내부 결속을 다지기 위해 보복관세를 단행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, 올해 신중국 창립 70주년을 맞아 애국주의 물결이 높아지는 가운데, 미국의 엄포에 밀려 합의안에 서명할 경우 민심이 돌아설 것이란 판단도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 정부는 강경 대응의 배경에 대해 경기부양책이 효과를 발휘하면서 중국 경제에 문제가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중국의 보복 관세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어떤 입장을 밝혔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보복 관세가 미국에 큰 타격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경제는 강하고, 이미 수백억 달러의 관세 수입을 올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앞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51411094167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