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·경기를 비롯한 전국의 버스노조가 파업 예고 시점을 전후해 파업을 철회하거나 유보하면서 우려했던 전국적인 교통 대란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울산만 노사가 오전에 협상을 타결지으며 이른 시간 버스 운행 중단으로 출근길 시민이 불편을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새벽 2시 반쯤, 임금 인상 폭을 놓고 정회와 속개를 수차례 반복하던 서울시와 버스 노사가 손을 맞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파업 돌입 90분을 앞두고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사측과 극적으로 협상안에 합의하며 파업을 철회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정수 / 서울시 버스노동조합위원장 : 더욱더 성장하는 노사관계, 또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, 우리 조합원들에게도 좋은 기회가 됐으면 좋겠습니다.] <br /> <br />부산에서도 쟁점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어제저녁 노조 측이 결렬을 선언했지만 오늘 새벽 협상을 재개해 타협점을 찾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서울을 포함해 대구, 인천, 광주 등 8개 지자체 버스 노사가 임금·단체 협약 협상을 타결지었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 버스 노사는 경기도가 버스요금 인상을 발표하자 추가 교섭이 필요하다며 임단협 조정 기간을 오는 29일까지 연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장원호 / 경기지역 자동차노조위원장 : 파업은 경기도만 해서는 별 효과가 노동조합 측은 없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결국 경기와 충남, 충북, 강원, 대전 등 5개 지역 버스 노조는 파업을 보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우려했던 전국적인 버스 대란은 피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울산의 경우 협상 타결이 늦어지면서 새벽 5시 첫차부터 버스 운행이 한때 중단돼 출근길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파업 위기는 넘겼지만 주 52시간제 시행과 관련해 노동시간 단축과 임금 보전 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불씨는 남아 있어 노사정 모두 해결책 마련을 숙제로 안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선희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51521582930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