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평도 해역 조기잡이 어선의 바닷길을 안내해주던 연평도 등대가 45년 만에 다시 불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남북 간의 긴장관계가 완화되면서 다시 불을 밝힐 수 있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천상규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연평도 해역 바닷길을 안내하고 안전한 항해를 돕던 연평도 등대가 거의 반세기 만에 불을 다시 켰습니다. <br /> <br />연평도 어민들의 길잡이 역할을 해왔지만 남북 간 군사적 긴장관계가 고조되면서 1974년 등대의 불을 끈 지 45년 만입니다. <br /> <br />등댓불이 남파 간첩에게 바닷길 안내 역할을 해 왔다는 이유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긴 세월 동안 어둠 속에 있던 연평도 등대는 지난해 4·27 판문점 선언과 9·19 군사합의를 통해 남북 간 긴장관계가 완화되면서 다시 불을 밝힐 수 있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[문성혁 / 해양수산부 장관 : 연간 3만여 척이 연평도 해역에서 조업하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. 어선들의 통항 선박의 안전항행을 지원한다는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연평도 등대는 1960년 3월 인천시 옹진군 연평면 해발 105m 지점에 세워진 높이 9.5m짜리 콘크리트 구조물입니다. <br /> <br />연평도 등대 재 점등은 지난 3월 서해 5도 어업인의 숙원이던 어장 확대와 야간 조업시간을 연장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됐습니다. <br /> <br />[성도경 / 연평도 어민회장 : 등대는 바다를 밝혀주고 어선들의 항해를 도와주는 것 아닙니까? 야간조업도 앞으로는 멀지 않았다. 야간조업도 가능하겠다는 기대도 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연평도 등대는 앞으로 일몰 시각부터 다음날 일출 시각까지 15초에 1번씩 반복해서 연평 해역에 불을 비추게 됩니다. <br /> <br />해수부는 국방부와 협의를 거쳐 연평도 해역의 군사적 특수성을 고려해 등대 불빛이 발사되는 각도와 도달 거리를 연평어장으로만 제한했습니다. <br /> <br />재점등 기념식에서는 1973년부터 불이 꺼질 때까지 마지막으로 연평도 등대를 지킨 김용정 전 등대 소장에게 감사패가 전달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천상규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51922221574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